2023년 미국 연방정부의 인구조사(센서스) 결과에 따르면, 미국 내 한인 인구는 2,023,517명으로 보고되었습니다. 이는 2020년 공식 센서스 당시 1,98 9,519명이었던 것과 비교할 때 1.7% 증가한 수치입니다.
2023년 이후부터는 대한민국 외교부 산하에 재외동포청이 신설되었는데, 재외동포청 보고에 따르면 2,615,419명으로 비슷한 수로 보고 되고있습니다. 미국에서 한국계 미국인이 가장 많은 주는 캘리포니아 (California) 주이며, 캘리포니아주에는 558,338명의 한인이 살고 있다고 보고되었습니다.
2023년 기준 주별 한인 인구 분포 및 순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순위 | 주(State) | 한인 인구 수 | 미국 전체 인구 대비 비율 |
---|---|---|---|
1 | 캘리포니아 (CA) ✈️ | 558,338 | 1.43% |
2 | 뉴욕 (NY) ✈️ | 141,745 | 0.73% |
3 | 텍사스 (TX) ✈️ | 115,107 | 0.38% |
4 | 뉴저지 (NJ) ✈️ | 113,736 | 1.16% |
5 | 워싱턴 (WA) ✈️ | 92,798 | 1.27% |
6 | 버지니아 (VA) ✈️ | 94,275 | 1.06% |
7 | 조지아 (GA) ✈️ | 71,877 | 0.67% |
8 | 일리노이 (IL) ✈️ | 70,814 | 0.56% |
9 | 메릴랜드 (MD) | 60,400 | 0.94% |
10 | 하와이 (HI) ✈️ | 52,696 | 3.62% |
11 | 펜실베이니아 (PA) | 48,225 | 0.40% |
12 | 플로리다 (FL) ✈️ | 45,949 | 0.21% |
13 | 미시간 (MI) ✈️ | 38,103 | 0.38% |
14 | 콜로라도 (CO) | 36,016 | 0.63% |
15 | 매사추세츠 (MA) ✈️ | 32,937 | 0.50% |
16 | 노스캐롤라이나 (NC) | 32,498 | 0.31% |
17 | 미네소타 (MN) ✈️ | 25,679 | 0.45% |
18 | 애리조나 (AZ) | 25,000 | 0.38% |
19 | 오리건 (OR) | 24,000 | 0.61% |
20 | 오하이오 (OH) | 22,000 | 0.19% |
2023년 통계에 따르면 주 별 한인 인구의 비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미국 전체의 한인 비율: 0.59%
- 하와이: 주 전체 인구의 3.87% ✈️
- 캘리포니아: 주 전체 인구의1.43% ✈️
- 워싱턴: 주 전체 인구의1.28% ✈️
- 뉴저지: 주 전체 인구의1.19% ✈️
- 버지니아: 주 전체 인구의1.09%
- 메릴랜드: 주 전체 인구의0.97%
- 알래스카: 주 전체 인구의 0.95%
- 네바다: 주 전체 인구의 0.72% ✈️
- 뉴욕: 주 전체 인구의 0.71% ✈️
- 조지아: 주 전체 인구의 0.69% ✈️
미국 주요 지역 총영사관 별 한국계 이민자 수
- 주미 한국대사관 관할: 157,778명
- 뉴욕 총영사관: 304,459명
- 로스앤젤레스 총영사관: 662,383명
- 시카고 총영사관: 347,900명
- 샌프란시스코 총영사관: 281,372명
- 애틀랜타 총영사관: 266,709명
- 시애틀 총영사관: 184,445명
- 휴스턴 총영사관: 99,824명
- 댈러스 총영사관: 86,825명
- 호놀룰루 총영사관: 76,064명
- 필라델피아 총영사관: 72,639명
- 하갓냐 총영사관: 7,070명
- 앵커리지 총영사관: 6,987명
- 보스턴 총영사관: 6,964명
2023년 기준으로 미국에 거주하는 재미동포(재외동포 중 미국 거주자)는 약 260만 명 내외로 추산됩니다. 이는 전 세계 재외동포 중 가장 많은 수에 해당합니다.
주요 국가별 재외동포 수 (대략적 수치 기준)
- 미국: 약 2,600,000명
- 중국: 약 2,300,000명 (다만, 조선족을 포함한 수치로 문화적/정체성 차이 있음.)
- 일본: 약 800,000명
- 우즈베키스탄, 러시아, 카자흐스탄 등 CIS 지역: 약 500,000명
- 유럽 전체: 약 500,000명
- 캐나다: 약 250,000명
- 호주: 약 150,000명
즉, 미국에 거주하는 동포 수는 전체 재외동포의 약 30~35%에 달하며, 다른 국가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습니다. 이 수치는 외교부와 재외동포재단 등의 통계를 기반으로 하며, 영주권자, 시민권자, 유학생, 취업비자 소지자 등을 포함한 숫자입니다.